August 4, 2013

[BOOK]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마그리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저자가 설명하는 코드는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가시성과 언표이고, 두 번째는 유사와 상사, 세 번째는 시선이다.

가시성과 언표는 대립관계이다. 보여주기와 명명하기, 그리기와 말하기, 모방하기와 분절하기, 바라보기와 읽기로 대립된다. 오랫동안 서구 미술사를 지배해온 원칙도 가시성과 언표에 관한 것이다. 글과 그림은 다르다는 것과 그림과 제목은 일치한다는 것이다. 마그리트의 그림은 두 가지 절대적 원칙을 파괴한다. 마그리트의 그림은 대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비상식적 배치를 통해 가시성과 언표에 관한 원칙을 무너뜨린다.

유사와 상사는 둘 다 비슷함의 의미를 가지지만, 유사는 최초의 요소를 참조하여 모방하고 상사는 원본 없이 일련의 시리즈로 전개된다는 차이가 있다. 푸코는 유사는 재현에 봉사하고, 상사는 반복에 봉사한다고 설명했다. 마그리트는 유사란 생각의 성질이고, 상사는 대상의 성질이라고 단순하게 구분지었다. 마그리트의 그림에서는 복사와 원본 사이의 구분을 교란시킴으로써 상사의 특징들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푸코와 마그리트와 말하는 상사는 플라톤-들뢰즈-보들리야르가 말하는 시뮬라크르와 같은 말이다. 플라톤의 이원론은 이데아를 중심으로 한 동일성을 강조하며, 시뮬라크르를 격하했다. 반면,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에 대한 찬미로 시뮬라크르의 권리 회복을 선언했다. 들뢰즈는 시뮬라크르의 역동적인 힘을 찬양하면서 예술은 외적인 대상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힘에 의한 반복의 과정이라고 말했다. 들뢰즈가 시뮬라크르의 밝은 면을 보았다면, 보드리야르는 시뮬라크르의 어두운 면에 주목했다. 시뮬라크르는 실재의 모방, 복제, 패러디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재의 기호를 대체하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선은 단순히 생물학적 기능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욕망과 깊은 연관을 가진다. 욕망은 필요, 요구와 구별되는데, 라캉은 요구로 필요가 총족된 다음, 충족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어떤 것을 욕망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욕망은 대상과의 관계가 아니라 결핍과의 관계다. 시선은 오브제 쁘티 아, 즉 욕망의 결핍이라고 할 수 있다. 마그리트는 얼굴을 가리거나 얼굴에 헝겊을 뒤집어 씌운 그림들로 유명하다. 이런 그림들이 묘한 감정이 들게 하는 것은 시선이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시선을 숨기는 것은 자신의 욕망을 숨기는 것이고, 이는 더욱 강렬하게 우리를 매혹시킨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